반응형

가슴으로 피어나는  5.18 민주화 운동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

죽음과 죽음 사이에 피눈물을 흘리는

우리들의 영원한 청춘의 도시여.

우리들의 아버지는 어디로 갔나.

우리들의 어머니는 어디서 쓰러졌나.

우리들의 아들은 어디에서 죽어 어디에 파묻혔나.

우리들의 귀여운 딸은 또 어디에서 입을 벌린 채 누워있나.

우리들의 혼백은 또 어디에서 찢어져 산산이 조각나 버렸나.

-김준태,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중-

 

 

 

 

1.원인 및 배경

유신체제의 폭압정치에 눌려왔던 국민들은 1970년대 후반부터 민주화운동에 적극 나섰으며, 특히 1979년 10.26사태로 박정희 대통령이 죽은 뒤에는 민주화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어 나갔다. 그러나 12.12사태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은, 국민이 원했던 민주주의에 대한 희망을 저버리고야 말았다.1980년 봄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시민들의 시위가 계속되었으며, 신군부 세력은 이에 맞서 5.17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광주에서는 비상계엄확대 소식을 듣고 18일 아침에 전남대 교문 앞에 대학생 200여명이 모였는데, 공수부대가 과잉 진압을 하여 부상자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자 학생들은 광주 도심지로 옮겨 시위를 벌였고, 공수부대는 곤봉과 대검으로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살상했다. 19일에는 계엄군의 만행에 분노한 광주 시민들이 학생시위에 동참하여 5.18민주화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2.과정

5월 20일, 광주 시민들은 20만 명 이상 모여 시위대를 형성해서 시청을 접수하고, 차량시위를 벌이며 광주문화방송국을 태우는 등(편파방송 때문)시위가 격해졌다. 21일에는 계엄군의 발포에 대항하려고 예비군 부대 무기고에서 총을 꺼내 무장을 함으로써 시위는 시가전의 형태를 띠게 되었다.

 

일부 시민들은 차를 몰고 광주 외곽지역으로 가서 광주의 진상을 전했다. 시민들의 저항으로 21일에 계엄군은 시 외곽으로 철수했고, 시민군은 이 날 오후에 전라남도 도청을 점령했다. 광주 시민들은 외부와 고립된 채 스스로 치안과 방위를 담당했고, 투사회보를 발행하여 선전활동을 하며 시민궐기대회를 열어 '계엄 해제', '학살 책임자 처단' 등을 요구했다.

 

사태가 더 이상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무기를 회수하고 정부와 타협하자는 쪽과 정부의 퇴진, 계엄령 해제, 구속인사석방, 언론조작 중지 등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결사 항전하자는 쪽으로 나뉘었다.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군부는 광주의 민주화운동을 불순분자와 폭도들이 주도하는 난동으로 규정하고 강경하게 대처했다. 그리고 광주지역의 통신과 교통을 단절하여 외부와 격리시켰다.21일부터 계엄군은 광주 시민에게 무자비하게 발포하고, 광주 외곽으로 나가는 도로를 점령하고 이곳을 지나는 양민들을 학살하기도 했다.

 

일시 외곽으로 빠졌던 계엄군은 26일부터 대대적인 진압작전에 나서 광주 시내로 진격했다.

그리하여 27일 새벽에 상황실에서 끝까지 싸우던 시민군 대부분을 사살하고 도청을 접수하면서 열흘간의 민주화운동은 막을 내렸다. 5.18민주화운동으로 수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는 166명이 사망하고 47명이 행방불명되었고, 2800여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또 627명이 구속되었는데, 175명이 군사재판에 기소되어 5명이 사형, 7명이 무기징역형의 선고를 받았다. 이들은 1981년 4월에 특별사면 및 감형으로 모두 풀려났다.

 

 

 

 

3.사건의 역사적 의의 및 영향

신군부 세력은 5.18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한 뒤 권력을 완전히 장악했다. 하지만 그 뒤에 들어선 전두환정부는 집권 기간 내내 도덕성과 정통성에서 비난을 받았다. 또한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을 갖고 있는 주한미군사령관이 광주의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광주 진입을 허용했다는 주장이 일면서 반미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80년대에 대학생들은 몇 차례에 걸쳐 미문화원을 점거, 광주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물었다.1988년에 노태우정부가 들어선 뒤 정식으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규정받았고 사건 규명을 위한 청문회가 열렸다.1995년에는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책임자들을 구속하고, 사망과 부상자에 대한 보상이 정해졌다.

 

2011년 5월에는 5·18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IAC)에 의해 세계기록유산에 정식으로 등재되었다. <출처 :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및 네이버 자료 참고>

 

 

 

 

4. 끝까지 풀지 못한 의문들...

사망자는 몇 명인가?....확인할 길 없는 600명 사망설

정확한 사망자수도 여전히 미궁에 빠져 있습니다. 정부가 인정한 공식 사망자는 154명입니다. 그러나 사망자수가 이보다 훨씬 많고 암매장된 사람도 많다는 애기가 들려오고 있다.

기사원문: 2005.5.4. <sbs>

 

5.18 발포 명령자는 누구? .. 핵심은 못 밝혔다.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이 자위권 발동을 주장했다는 사실은 확인됐지만 누가 발포명령을 내렸는지 핵심적인 의문은 여전히 밝혀내지 못했다.

기사원문: 2007.7.24.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의 과정은 많은 고통속에서 피어났지만, 희생자의 가슴속에 어려있던 진실만은 역사에 면면히 이어져 민주주의의 꽃으로 피어날 것이다.

 

 

300x250
반응형